맵 역기획
참고로 이건 래퍼런스 이미지가 결정된 상태에서 나라면~~ 작업이라 래퍼런스 이미지가 왜 좋은가에 대한 분석은 없음
필요한 건
1. 무엇을 보여주고 싶으냐?
2. 실제 모바일 화면에서 어떻게 보여지냐?
1. 무엇을 보여주고 싶으냐?
전달하고 싶은 무엇이 뭔지 찾아보고 알아야 한다.
장르 문법이 있는 것처럼 한 장의 이미지에도 구도(레이아웃), 색상, 덩어리(양감) 등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사용해 보는 사람이 느낄 공통적인 감정(정서)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디자인되어 있다.
ex) 빨강 -> 위험 / 초록 -> 안전
크다: 두려움, 답답 / 작다: 귀엽다, 가볍다
뭔가 보고 좋다는 생각이 들었고 왜 좋은지 궁금하다면 잘라서 분석해야 한다.
일단 비슷한 다른 것도 그런 감정을 불러일으키는지 찾아본다.


검색 엔진이 전 세계 사람"들"의 검색어를 바탕으로 보편적으로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찾아준다.
1~10 중 1은 동일한 이미지
나도 사람이니까 눈에 보이는 것 중에 얼핏 공통적인 걸 정리해보자. 세세하게 보지 말고. 크게.
1. 시점 : 쿼터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2889095&memberNo=24418680
시점에 대해 아시나요? 게임으로 보는 시점 이야기!
[BY 연결고리] 안녕하세요. 게임 에디터 연결고리입니다.여러분은 게임의 시점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이...
m.post.naver.com
2. 정사각형 땅
3. 색깔: 톤다운된 회색+파랑
4. 배치: 앞 바다, 배경의 산(마름모꼴)
더 자세히 볼 필요없다. 3~5개 정도면 충분. 시각 정보는 직관적이고 누구나 눈이 있고 느낌은 찰나다.
공통점이라는 안경을 쓰고 검색 결과를 다시 보고 비슷한 걸 찾아보자.

번호 | 쿼터뷰 | 정사각형땅 | 톤다운,회색,파랑 | 앞바다,뒷산 | 점수 |
1 | - | - | - | - | - |
2 | o | o | 2 | ||
3 | o | 1 | |||
4 | o | 1 | |||
5 | o | o | 2 | ||
6 | o | o | o | o | 4 |
7 | o | o | 2 | ||
8 | o | o | 2 | ||
9 | o | o | 2 | ||
10 | o | o |
6이 젤 비슷하다. 다운 받아서 자세히 까보자.
2. 어떻게 보여줄까. 모바일로 보여줄거니까 화면 상에서 어떻게 보일지 넣어보자.


프로젝트에 이미지 등록 > 인스펙터에서 텍스쳐 타입을 스프라이트로 변경 > 적용 > 하이어라키에 올림


메인 카메라 - Clear Flags: 솔리드칼라
백그라운드는 스포이드로 배경색을 찍음
시점은 Perspective
Othographic은 원근이 적용되지 않는다.
Perspective : 원근법이 적용되는 3D 화면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Orthographic : 직각 투영으로 원근법이 없는 2D 화면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우리는 확대축소할 거니까 똑같지는 않아도 감만 함 보자.
시작 크기 => 보여질 최소 크기 부터 시작한다.
최소가 어떤 크기여야 하는지 근거가 부족하니 우선 레퍼런스인 마이오아시스를 따라한다.
따라하다보면 왜 그 크기인지 알게 될테니.

세로보다 가로가 중요하니 가로 길이를 재서 화면 상의 비율와 맞춰서 view에 적용해보자.
비율을 맞춰볼거니 잘라질 수 있는 스샷 말고 원본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 온라인에서 길이재는 사이트
https://www.rapidtables.com/web/tools/pixel-ruler.html
Online Ruler | On screen pixel image ruler
Step 1: Capture screen or window by pressing ⌘ Command+⇧ Shift+3 or ⌘ Command+⇧ Shift+4 Step 2: Paste in this page by pressing ⌘ Command+V Step 3: Click on 2 pixels to get length
www.rapidtables.com


0: 이미지의 총 가로 길이 1441 × 666
1: 583
2: 보여지는 섬 길이 275
3: 583
1과 2의 길이가 똑같다. 잘 잰 듯.
1+2의 길이= 0. 잘 쟀다.
비율로 환산하면 (비율 계산은 네이버 퍼센트 계산기를 사용하자)
583:275:583 = 40:20:40
이게 맞는지 틀린지는 해봐야 안다.
이건 그냥 나라면 이렇게 했을 거야. 각자의 방식이 있으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