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행위자들이 일정한 전략을 가지고 최고의 보상을 얻기 위해 벌이는 행위
플레이어 > *의미 있는 행위 > 보상
- 전략 : 사회적 활동에서 목적을 순조롭게 이루기 위해 질서(규칙)을 세우는 행위
(질서와 규칙은 범위가 다르지만 게임은 상대가 있기 때문에 규칙도 맞말)
- 戰畧: 정치, 경제 따위의 사회적 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책략.
(전쟁에서의 책략이 1이지만 여기서 대상은 행위자들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활동을 채택함)
- 策畧: 꾀, 계책. 대쪽
(과거에는 죽간에 글을 썼기 때문에 댓조각이 꾀와 동의어인가 봄,
뜻을 담은 음이 우리 말로 책인 것이 흥미돋)
- 整理 가지런할 정리: 흐트러지거나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는 것을 한데 모으거나 치워서 질서 있는 상태가 되게 함.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종합함.
문제가 되거나 불필요한 것을 없애서 말끔하게 바로잡음.
(전략, 책략의 략과 정리의 리가 다스리다는 같은 뜻을 가짐)
- 畧 다스릴 략, 다스리다: 일을 보살펴 관리하고 통제하다.
사물을 일정한 목적에 따라 잘 다듬어 정리하거나 처리하다.
어지러운 일이나 상태를 수습하여 바로잡다.
(다스리다에 '질서 있게' 를 넣으면 의미가 살아남)
- 보상: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갚음. '노고에 대한 보상을 받다.'
(심리)행위를 촉진하거나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동물에게 주는 물질이나 칭찬.
- 갚다: 남에게 빌리거나 꾼 것을 도로 돌려주다.
게임에 적용되는 보상은 (심리)의 뜻이 널리 쓰이지만 보상이란 단어에는 갚음이 숨어있었다.
보상을 받는다 = 돌려받는다
소설도 드라마도 게임도 콘텐츠를 즐기는 행위는 재미를 즐기기 위해서라는 생산성 없는 목적에 의해 실행된다.
노고 없이 생산도 하지 않으면서 오로지 받기만을 바라는 거다.
인생에서 콘텐츠란 고단한 삶의 보상인가보다.
- 稱讚 일컬을, 저울 칭 기릴 찬: 좋은 점이나 착하고 훌륭한 일을 높이 평가함. 또는 그러한 말.
(좋은 점의 반대는 나쁜 점, 착함의 반대는 악함이다. 상대와 비교한다는 거다.
칭에 저울이라는 뜻이 있었다니 비교해서 우위를 정해 알리는 행위 그 자체.
칭찬해주세요 = 쟤보다 낫다고 해주세요~)
상대와 공정한 규칙에 의해 비교해서 보상까지 주니 게임에 랭킹과 계급제 도입은 자연스러운 결과
- 行爲: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하는 짓.
환경에서 유발되는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기체의 행동.
(심리)분명한 목적이나 동기를 가지고 생각과 선택, 결심을 거쳐 의식적으로 행하는 인간의 의지적인 언행.
윤리적인 판단의 대상이 된다.
- 행동: 몸을 움직여 동작을 하거나 어떤 일을 함.
- 意志 뜻뜻: 어떠한 일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
- 뜻: 무엇을 하겠다고 속으로 먹는 마음.
- 마음: 사람이 본래부터 지닌 성격이나 품성.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감정이나 의지, 생각 따위를 느끼거나 일으키는 작용이나 태도.
마음이 먼저고 행동이 후다.
어떠한 플레이를 하도록 마음을 먹게하는 일. 게임 기획.
企劃 바라고, 꾀하고, 도모해서 쪼개고, 긋는 일. 그래서 문서랑 뗄래야 뗄 수가 없나봄.
긋는다는 건 문자의 원형이고 기록하여 文明이 생기니까.
세상을 글로서 밝히는 것.얼마나 멋진 말인가.
이 길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행복해.
- 글: 생각이나 일 따위의 내용을 글자로 나타낸 기록.
학문이나 학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을 적는 일정한 체계의 부호.
- 文: 학문, 문학, 예술 따위를 무(武)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언어)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글의 경우, 문장의 끝에 '.', '?', '!' 따위의 문장 부호를 찍는다. '철수는 몇 살이니?', '세 살', '정말?' 따위이다.
- 武 호반 무: 전쟁에 관한 일 또는 무술과 병법을 이르는 말.
무술, 병법: 무도에 관한 기술, 전쟁하는 방법
무에 상대하여 만든 말이라니... 문 이전의 세계는 엄청나게 싸웠나보다.
하긴 기록되지 않은 회의 결과는 그 때 니가 그랬잖아, 언제 그런 말했어...
한문을 쓰면 노답 꼰대 같은데 내가 하는 말이 뭔지, 한문의 뜻을 알면 한글의 사용이 명확해진다.
- 게임: 행위자들이 일정한 전략을 가지고 최고의 보상을 얻기 위해 벌이는 행위
라는 한 줄에서 이하의 단어를 찾아냈다.
질서(규칙) / 행위(반응) / 보상
반의어는 혼돈 / 자극 / 노고 가 되겠다.
혼돈 - 질서 : 퍼즐
자극 - 반응 : 액션
노고 - 보상
얼핏 이렇게 연상이 되는데...
플레이어 성향을 분류하고 해당 성향의 플레이어가 선호하는 장르를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될 법해보인다.
...헬스에서 말하는 외배엽 체형의 사람은 활동적이다라는 체질 심리학을 창안한 우생학자의 말이 떠오르는군. 윌리엄씨도 하버드 교수지만 주장에 근거가 부족하면 무쓸모.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뇌 구조와 유전자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개인적으로 게임의 장르 별 선호하는 사람의 뇌 구조도 다른 거 같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내가 이걸 좋아하는 이유는 그렇게 태어났기 때문이라는 거지.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 방식이 사람마다 다르단 건 사실인데 생물학적 차이가 영향을 미칠 것 같다. 누가 벌써 연구했겠지. 찾아보자.
이경규씨가 그랬다.
"잘 모르고 무식한 자가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

계속하자.
- 참조: 위키, 네이버 어학사전
다음은
- 장르: 문예 양식을 형식과 전개 방식, 분위기 등을 기준으로 사회적으로 느슨하게 구분한 範㿧(법 범, 이랑 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콘텐츠 별로 적합한 표현을 위한 특징적인 방식이 있어 이를 사용하면 전달력이 높아진다. 이 특징적인 방식을 한데 모아 분류한 것을 장르 문법라고 할 수 있다.
특징적인 방식은 이를 사용하는 창작자가 한 시대에 속해있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기획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게임의 역사 1983년: 아타리 쇼크 (1) | 2024.11.05 |
|---|---|
| 게임의 역사 1980년 대(~1983년) (3) | 2024.10.14 |
| Bubble Shooter 레퍼런스 (2) | 2024.10.08 |
| 게임의 역사 1970년 (4) | 2024.10.07 |
| 게임의 역사 1940~1960년대 (3) | 2024.10.07 |